Home > 도량안내 > 전각안내
고려 문종 33년(1079) 혜덕왕사 소현 화상이 대사구와 봉천원구, 광교원구 등 총 88당 711칸의 대가람으로 중창하였고, 산내 암자수만 40여곳에 이르렀다. 정유재란으로 전소되고 35년이 흐른뒤에서야 대사구지역만 일부 재건이 되었다. 현재는 35곳의 당우가 있다.
대사구 : 대적광전, 미륵전이 있는 본전으로서 기도와 법회가 이루어지던 곳
봉천원구 : 부도전 아래쪽에 큰스님들이 주석하던 곳으로서 또 하나의 금당을 짓고 노사나불을 모셨다.
광교원구 : 지금의 일주문 근처구역으로 유식에 관한 경전을 판각하여 인쇄하던 곳이다.
노주
노주(보물 제22호)
대적광전 오른쪽에는 독특한 형태의 노주(露柱)가 있다. 노주란 ‘노반지주(露盤之柱)’의 줄임말로서 처음에는 전각의 정면 귀퉁이에 세우는 두 개의 장대였다가 나중에 탑의 상륜부를 구성하는 부재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는 탑의 일부인 이 노주가 왜 별도의 조성물로서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가 없다.
사중기록에 보면 ‘노주’는 잘못 된 명칭이고, ‘광명대(光明臺)’로서 미륵전 앞에서 미륵불에게 광명을 공양하던 석등이었다고 한다. 이 말이 맞다고 한다면 지금의 모습은 불을 밝히는 곳인 화사석(火舍石)이 없어진 상태가 된다. 고려시대의 조성기법을 간직하고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어 보물 제22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