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금산사소개 > 큰스님
화평스님은 1988년 월주스님을 은사로 출가해 사미계를 수지하고, 1993년 일타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했습니다. 1998년 중앙승가대를 졸업하고, 2001년 원광대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습니다. 2007년 불교전문강당과 2012년 동국대 불교대학원 최고위과정을 졸업했습니다. 조계종 총무원장 표창, 국회의장 공로장,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서울특별시장 표창 등을 받았습니다.
무우사 주지(1999~2005), 룸비니어린이집 원장(2000~2003), 금산사 교무국장(2001~2003), 금산사 총무국장(2021~2024), 심곡사 주지(2003~2014), 전주 서고사 주지(2022~2024), 사단법인 지구촌공생회 감사(2016~2019). 사무처장, 광진노인종합복지관장(2003~2022), 나눔의 집 이사(2010~2020), 서울시노인종합복지관협회장(2012~2013), 학교법인 승가학원 감사(2018~2021), 불교방송 이사(2021~2022) 등 불교계 안팎의 다양한 소임을 보았습니다.
이 세상의 도솔천, 모악산 금산사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금산사는 한국불교 1700여년 역사를 대표하는 수많은 고승을 배출한 유가종찰이자 미륵신앙의 근본도량입니다. 일찍이 신라의 대학승 의적스님은 유식사상의 토대를 금산사를 중심으로 구축하였습니다.
금산사에서 통일신라시대 진표율사는 유가종의 본존불인 미륵장육상을 봉안함으로써 유식사상에 입각한 중생구제의 원력을 시현하였습니다.
고려시대에는 혜덕왕사 소현대사와 도생승통대사, 원명 해원대사, 조선시대에는 의승장 뇌묵 처영대사를 비롯한 소요 태능대사, 환성 지안대사, 남악 태우대사 등 유명한 고승들이 수행과 교화뿐만 아니라, 구국의 큰 업적을 남겼던 유서 깊은 도량입니다.
우리 후학들도 은사이셨던 태공 월주 대종사께서 걸었던 보현행원의 길을 따라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을 전개해 대중들의 정신적 귀의처로 거듭날 수 있도록 열심히 정진하겠습니다.
사회와 소통하고 대중과 화합하는 승가공동체, 교구 공영제로 신뢰받는 전북불교를 실현해 나갈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 주지 지문 화평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