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도량안내  >  성보문화재


국보 1점
보물 10점

국보 제62호 3층 미륵전, 보물 제476호였던 대적광전(화재로 보물해제), 보물 제827호 대장전, 보물 제22호 노주, 보물 제23호 석련대, 보물 제24호 혜덕왕사 진응탑비, 보물 제25호 오층석탑, 보물 제26호 방등계단, 보물 제27호 육각다층석탑, 보물 제28호 당간지주, 보물 제29호 북강3층석탑, 보물 제828호 석등


국가 중요 사적 제496호, 국가 등록문화재 제619호 김제 금산사 석고미륵여래입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53호 김제 금산사 대장전 목조삼존불상과 광배

조사전, 나한전, 명부전, 보제루 등 총 30여동의 전각이 현존하고 있다.


보물금산사 대장전 大藏殿(보물 제827호)


 

금산사 대장전 (보물 제827호)

미륵전의 정면 서쪽에 앞면과 옆면 각 3칸씩의 다포식 팔작지붕인 대장전(大藏殿)이 자리한다. 이 전각은 보물 제827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장전은 본래 진표율사가 절을 중창하면서 세워졌다. 미륵전을 짓고 이를 장엄하는 정중목탑(庭中木塔)으로서 가운데에서 우측 부분에 위치하였으며 정팔각원당형으로 조성했던 건물이다. 당시의 양식은 탑과 같이 산개형(傘蓋形)의 층옥(層屋)으로서 맨 꼭대기 옥개에는 솥뚜껑 모양의 철개(鐵蓋)를 덮고, 다시 그 위에 불꽃 모양의 석조 보주(寶珠)를 올렸다.

그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 1635년(인조 13)에 가람을 중창하면서 본래 목탑이었던 것을 지금과 같은 전각의 형태로 변형하면서 대장전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지금의 위치로 이전된 것은 1922의 일이다. 이렇듯 여러 차례 변화가 있었지만 전각 꼭대기에는 복발과 보주 등이 아직 남아 지금도 신라 때의 목탑양식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삼면의 벽은 모두 10폭의 벽화로 장엄하였는데 흔히 볼 수 있는 십우도나 극락세계의 장엄 등이 아니라 구체적 인물과 사건이 등장하는 모습이다. 몇 개만 열거하면 ‘오달국사 인명창저지화상도담, 치계전생담(雉鷄前生譚), 부설거사 도술담(浮雪居士道術譚), 용파수상행(龍波水上行), 희운선사 행적기(喜運禪師行迹記)’ 등이다. 또한 외벽에도 좌우로 벽화가 그려져 있다. 한편 대장전의 내부 출입문 위에는 1974년 건물을 중수할 때 참여한 사람들의 인명과 불상의 개금불사에 시주한 사람들 이름을 적은 현판이 걸려 있다.


 

 <금산사 대장전 꽃살문 >

금산사 대장전의 문살은 솟을빗꽃살문 형식이며, 문살이 교차하여 형성된 육각형의 영역 안에 꽃잎이 여섯 장인 관념적인 꽃을 새겼다. 붉은색, 푸른색, 흰색으로 화려하게 채색되었으며 같은 색의 꽃들은 일정한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수미단 백로>

금산사(金山寺) 대장전의 수미단에 조각된 백로이다. 건물의 내부를 보면, 천장은 중앙 1단을 높여서 우물천장을 가설하였으며 보상화문(寶相華文)으로 단청을 하였다. 전면의 수미단(높이 1.07m, 전면길이 4.0m, 측면 1.8m)은 4단으로 구획하여 정교한 장식문양을 투조(透彫)하였다. 바닥부터 제1단에는 용과 귀면 등이, 제2단에는 인물상과 꽃들이, 제3단에는 새와 꽃들이, 제4단에는 안상문이 각각 투조되었다. 특히 해오라기는 불단 정면 중앙부의 제3단에 새겨져 있다. 해오라기, 즉 백로는 길상적인 의미로는 일로(一路)라는 뜻을 나타내는데, 한 번에 순탄하게 급제함을 상징한다.


                                                                                                                                             


Tel.063-548-4441~3 | Fax. 063-548-1390 | geumsansa@hanmail.net
54343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금산리 39)  모악산 금산사  |  주지 지문 화평

고유번호 405-82-01608  | Powered by Planning Studio Yeoreum